팔공지맥

팔공지맥

울산 금수강산 2016. 10. 3. 21:16

-팔공기맥의 개요-


백두대간이 줄기차게 남으로 남으로 뻗어가다 낙동정맥이 태백 피재전 매봉산에서
동쪽으로 잠깐 흐르다 남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시종일관 내륙과 동해 바닷가를 가르며
부산 다대포 몰운대에서 바다속으로 가라앉는다.

이 낙동정맥이 백병산 통고산 온천으로 유명한 백암산과 국립공원 주왕산 지나 피나무재와
질고개 통점재를 거쳐 남하하던 중 포항시 청하면 상옥리 서쪽편 낙동정맥상 고라산(744.6봉)에서
(낙동정맥에서 팔공기맥 분기봉은 사실상 고라산 직전봉인 733.9m봉이다.)
청송군과 포항시의 경계를 이루면서 서남으로 흘러 달의령을 지나고,포항시/청송군 경계는
서북쪽 구암산(九岩山)으로 흐르고,팔공기맥길은 온전하 포항시 죽장면 관할로 들어가서
죽장면을 동서로 가르면서 백고개 옻재를 지나 서진하다가 다시 청송/포항경계와 만나서 서남진한다.

버들재와 꼭두방재(포항-죽장-청송/31번국도) 베틀봉 곰내재 지나 서진을 하며,1000이산으로 고도를
높이며,포항시 관할 최고봉인 면봉산(1113m)을 지나,보현산(1124m) 못미쳐 어깨마루에서 포항시계는
동진을 하고,팔공기맥은 보현산으로 오른다.

이후에는 영천시와 청송군의 경계를 따라 갈재 노귀재(35번 국도/영천-안동)지나 750봉에서
이제 군위군과 영천시의 경계를 이루며 남하한다.750봉에서 서북으로 흐르는 산줄기와 기맥능선
북쪽으로 떨어지는 물줄기는 전부 암하호로 들어가낙동강으로 합류하고,이후 기맥능선 북쪽으로
떨어지는 물은 전부 의성 위천으로 흘러들어가 역시 낙동강으로 합류한다.

수기령 750봉에서 서진을 하여 710봉 방가산 퉁제이 645봉 485봉 화산 722봉 갑령 466봉에서
영천시/군위군의 경계를 벗어나 영천시 신령면內를 가르며 갑령재 오림터널 597봉 사기점고개
지나 388봉 전위봉에서 다시 영천/군위 경계를 따라 919 지방도로 332봉 시루봉에서 고도를 한껏
높이며 팔공기맥의 최고봉인 팔공산으로 올라 대구광역시/군위의 경계를 따라 파계재를 지난 무명봉에서 대구시 경계는 서진을 하고 기맥은 가산산성으로 치닫는다.

이후 칠곡군 동명면과 가산면 경계능선으로 올라붙어 한티제 783봉 지난 무명봉에서 한줄기는 북진을
하고 기맥은 서진을 하며 756봉 가산산성 지나 칠곡군 가산면과 군위군 효령면 경계능선을 따라 북진을
한다.구미시와 효령면의 경계로 373봉 5번국도 효령재 응봉산 장천2 터널 267봉 적라산 장구미기
곰재 지나 선산군과 군위군의 경계를 가른다.

우베틀산-베틀산-좌베틀산을 지나 68번 국도 청화산 갈현 343봉 장자봉 십령 만경산 197봉 231봉
284봉 까지 의성군 단밀면 內를 남북 동서로 가르며 흘러 그 끝이 위천과 낙동강이 합류하는 지점인
경북 상주시 중동면 새띠 마을에 이른다.

위의 약 160km의 산줄기를... ""팔공기맥""...이라 명명한다.

'팔공지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공지맥(4구간)   (0) 2016.11.28
팔공지맥(3구간)   (0) 2016.11.14
팔공지맥(2-1구간)  (0) 2016.11.07
팔공지맥(2구간)  (0) 2016.10.17
팔공지맥(1구간)  (0) 2016.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