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요법·건강관리

작약

울산 금수강산 2006. 11. 5. 18:39

 

작약(芍藥)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Paeonia lactiflora
분류  미나리아재비과
분포지역  한국·몽골·동시베리아
자생지  산지
크기  높이 약 60cm
 
 산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여러 개가 한 포기에서 나와 곧게 서고 높이 60cm 정도이며 잎과 줄기에 털이 없다.
뿌리는 여러 개가 나오지만 가늘고 양끝이 긴 뾰족한 원기둥 모양으로 굵다.

잎은 어긋나고 밑부분의 것은 작은잎이 3장씩 두 번 나오는 겹잎이다.
작은잎은 바소꼴 또는 타원형이나 때로는 2∼3개로 갈라지며 잎맥 부분과 잎자루는 붉은색을 띤다.
윗부분의 잎은 모양이 간단하고 작은잎이 3장씩 나오는 잎 또는 홑잎이다.
잎 표면은 광택이 있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5∼6월에 줄기 끝에 1개가 피는데 크고 아름다우며 재배한 것은 지름 10cm 정도이다.
꽃색은 붉은색·흰색 등 다양하며 많은 원예 품종이 있다.
꽃받침은 5개로 녹색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끝까지 붙어 있는데 가장 바깥쪽의 것은 잎 모양이다.
꽃잎은 10개 정도이나 기본종은 8∼13개이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이며 길이 5cm 정도이다.

수술은 매우 많고 노란색이며 암술은 3∼5개로 암술머리가 뒤로 젖혀지고 달걀 모양의 씨방에는 털이 없거나 약간 있다.
열매는 달걀 모양으로 끝이 갈고리 모양으로 굽으며 내봉선을 따라 갈라지고 종자는 구형이다.

꽃이 아름다워 원예용으로 쓴다.
뿌리는 진통, 복통, 월경통, 무월경, 토혈, 빈혈, 타박상 등의 약재로 쓰인다.
중국에서는 진(晉)과 명(明)시대에 이미 관상용으로 재배되어 그 재배 역사는 모란보다 오래되었다.
송(宋)을 거쳐 청(淸)시대에는 수십 종류의 품종이 기록되어 있다.
한국, 몽골, 동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

 

 

작약(芍藥)

함박꽃뿌리

 

함박곳불휘性平微寒味苦酸有小毒除血痺通順血脈 緩中散惡血消癰腫止腹痛消瘀血能蝕膿

함박곳불휘(옛날 이름), 성질은 평하거나 약간 찬편이며 맛은 쓰고 시며 약간 독이 있는 약재로, 혈비(血痺)를 제거하고 혈맥을 순조롭게 통하게 하며 속을 완화시키고 나쁜 피를 흩어지게 하고 옹종(癰腫)을 삭히며 복통을 그치게 하는가 하면 능히 어혈과 고름을 없어지게 하는 약이다.

 

主女人一切病幷産前後諸疾通月水療腸風瀉血痔瘻發背瘡疥及目赤努肉能明目

주로 여성의 모든 병과 산전산후의 제반 증세와 월경을 통하게 하는 데도 쓰며, 장풍(腸風)으로 피를 쏟는 것, 치루, 등창, 물러서 상처가난 데, 눈에 충혈이되고 군살이 돋은 데 쓰며 눈을 밝게하는 데도 쓴다.

 

○生山野二月八月採根暴乾宜用山谷自生者不用人家糞壤者又云須用花紅而單葉山中者佳

산야(山野)에서 서식하는 데 음력 2월과 8월에 뿌리를 채취하여 햇볕에 바짝 말려서 쓰는 데, 산골에 자생하는 것을 쓰는 것이 좋고 인가에서 거름을 주며 재배한 것은 쓰지 않는 것이 좋고, 또한 약으로 쓸 때는 반드시 꽃이 붉은 색이며 이파리가 홑잎으로 된 산중에서 서식하는 것을 씀이 좋다.

 

○一名解倉有兩種赤者利小便下氣白者止痛散血又云白者補赤者瀉(本草)

작약을 일명 해창(解倉)이라고도 하는 데, (희고 붉은) 두 종류가 있으니, 적작약은 오줌을 잘 나가게 하고 기를 내리며 백작약은 아픈 것을 멈추고 어혈을 헤치며, 또한 전하기를 백작약은 보(補)하고 적작약은 사(瀉)한다고도 한다(본초).

 

○入手足太陰經又瀉肝補脾胃酒浸行經或酒炒或氖用(入門)

수족태음경에 들어가고 또한 간에 들어가 간기(肝氣)를 사하고 비위(脾胃)를 보하는 데, 술에 담갔다가 쓰면 경맥으로 들어가고 혹은 술에 축여 볶아서 쓰고 싸서 잿불에 구워서도쓴다(의학입문).

 

○芍藥酒浸炒與白朮同用則能補脾與川芎同用則瀉肝與參朮同用則補氣

작약은 술에 담갔다가 볶아서 백출과 함께 쓰면 비(脾)를 보하고, 천궁과 함께 쓰면 간기(肝氣)를 사하며, 인삼, 흰삽주와 함께 쓰면 기를 보한다.

 

治腹痛下痢者必炒後重則不炒又云收降之體故能至血海入於九地之下得之足厥陰經也(丹心)

복통(腹痛)과 이질을 치료하는 데는 반드시 볶아서 쓰고, 뒤가 묵직한 데는 볶지 말고 쓰며, 또 전하기를, 수렴하여 아래로 내려가게 하는 고로 능히 혈해(血海 피의 바다라는 뜻의 경혈 이름)와 9가지 혈에 관한 경혈로 들어가 족궐음경(足厥陰經 간경)에 갈 수 있다고도 한다(단심).

'민간요법·건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문동(1)  (0) 2006.11.05
뽕나무 |  (0) 2006.11.05
엉겅퀴  (0) 2006.11.05
하늘타리  (0) 2006.11.05
구지뽕나무  (0) 2006.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