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고

대한민국 항모전단을 꿈꾸며 [ 4 ]

울산 금수강산 2007. 12. 28. 18:13

어떤 함재기를 채택하여야 하나 ?

 

앞글에 설명한 것처럼 캐터펄트 방식의 통상항모를 채택하면 스키점프대 방식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함재기 선택에 여유가 많습니다.  스키점프대 방식의 輕항모는 수직이착륙기외에는 대안이 없는데 현재 단종된 해리어말고는 사실 운용 할 함재기도 없습니다.  거기에다가  차세대 수직이착륙기인 JSF 의 F-35B 도 개발에 상당한 난항을 겪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옵니다.

 

4-1_F35B.jpg

[ 미국 해병대와 영국 해공군이 채택을 고려 중인 차세대 수직이착륙기 F-35B

리프트팬 탑재로 무장탑재량, 항속거리 등이 작다고 평가됩니다 ]

 

때문에 현재 또는 멀지 않은 장래를 기준으로 40,000 톤급 캐터펄트 방식의 항모에 탑재 할 수 있는 전술작전용 함재기를 손꼽으라면 F/A-18C/D, FA-18E/F, Rafale-M 그리고 JSF 의 F-35C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중 F/A-18C/D Hornet 는 단종되었고 FA-18E/F Super Hornet 는 전혀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中型항모에서 운용하기는 어려움이 많은 대형기종입니다.

 

4-2_FA-18F.jpg

[ 미국의 주력 전술기인 F/A-18F Super Hornet , 상대적으로 대형 기종입니다 ]

 

그 외에도 러시아에서 제작한 Su-33 이나 인도, 중국 해군이 채택하기로 한 기종으로 알려진 MiG-29MK 도 후보기종으로 떠오르지만 한국군의 기존 무기체계와 호환이 어려운 여러 문제도 있고 그 동안 러시아 항모나 함재기의 운용 경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러시아산 함재기가 실전에 투입된 경험이 없었던 점을 생각한다면 굳이 선택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4-3_Su-33.jpg

[ 이함무게 때문에 폭장량 제한을 받는 것으로 알려진 러시아의 Su-33 ]

 

그렇다면 전술작전용 후보 기종으로는 제공 및 타격능력이 겸비된 프랑스의 Rafale-M 과 미국의 F-35C 로 후보가 좁혀 질 수밖에 없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추후 생산량, 부품수급문제 등을 고려 할 때 조심스럽게 F-35C 형의 손을 들어주고 싶으며 원활한 작전이 가능한 2개 비행대를 구성 할 수 있는 24기 정도가 항모에 탑재 되어야 한다고 판단됩니다.

 

4-4_F-35C.jpg

[ 조만간 미 해군용으로 도입예정인 F-35C 의 상상도 ]

 

물론 이들의 주 임무는 제공, 대지, 대함임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일부기종은 정찰임무, Buddy to Buddy 방식의 공중급유임무와 제한적인 ECM 임무도 병행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미국의 항모 비행단처럼 각각 별도의 임무를 수행하는 여러 종류의 비행대를 구성할 만큼 공간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여유가 없기 때문입니다.

 

4-5-1.jpg

4-5-2.jpg

[ 함재기간에 이뤄지는 Buddy to Buddy 방식의 공중급유 모습 ]

 

다음으로는 본토와 멀리 떨어진 원양에서 항모 비행단이 단독적인 작전을 하기 위해서는  독립적인 조기경보 체계를 갖추어야 함은 두말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기경보기 탑재가 필수적 입니다.  현재로써는 어쩔 수 없이 E-2C 외에는 적절한 대안이 없다고 생각되며 원활한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기는 탑재되어야 한다고 사료됩니다.

 

4-6[3].jpg

[ 대안이 없어 보이는 E-2C , De Gaulle 에도 탑재되어 있습니다 ]

 

그 외 미국처럼 별도의 ASW용 대잠기나 전자전기는 사실상 보유하기가 곤란하리라 판단되므로 4~6 기 정도의 HH-60 급 헬기로 구성된 ASW구조수색 비행대를 갖추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ECM 과 같은 전자전은 전투비행대에 갖춰진 부분적인 전자전 기능을 최대한 이용하는 것이 타당한 방법으로 생각됩니다.

 

4-7_HH-60H.jpg

[ ASW 와 구난수색 용도로 HH-60H Sea Hawk 정도의 헬기가 탑재되어야 합니다 ]

 

그렇다면 한 척의 항모에는 Buddy to Buddy 공중급유가 가능한 24기 정도의 F-35C ( 일부 기종은 제한적인 정찰, ECM 임무 병행가능 ), 2기의 E-2C 조기경보기, 4~6기의 ASW, 구조수색임무에 투입 가능한 HH-60급 제해헬기로 구성되는 비행단이 탑재되며 이 정도 전력이면 기존의 경항모수준을 뛰어넘어 제한적인 종심타격 임무까지도 단독적으로 수행 가능하리라 판단됩니다.